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 “예고된 참사” 울산화력 붕괴…무너진 건 철골만이 아니었다

by jissunack 2025. 11. 15.
반응형

예고된 참사 울산 화력 붕괴(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 이미지)


2025년 11월 6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는 단순한 산업재해가 아니었다. 44년 된 노후 설비를 철거하던 중 구조물이 무너져 9명의 작업자 중 7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한국의 해체공정 안전관리 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여실히 드러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사고 이후의 대응이었다. 작업업체는 “사고 원인을 알 수 없다”고 말했고, 정부는 뒤늦은 조사 착수로 일관했다. 국민들은 분노했고, 유가족은 절망했다.


🧩 [1] 왜 무너졌나? 붕괴를 부른 ‘취약화 작업’의 진실

사고 당시 진행 중이던 ‘취약화 작업’은 구조물의 특정 지점을 절단해 붕괴 방향을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절단 순서와 하중 분산이 제대로 계산되지 않았고, 그 결과 구조물은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무너졌다. 전문가들은 “필로티식 해체 방식이 위험을 키웠다”고 지적하며, 구조검토서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 [2] 발파냐, 와이어냐? 해체공법의 명암 비교

이번 사고에서 사용된 발파 해체 공법은 빠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도 높다. 반면, 와이어 절단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래 표는 두 공법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한 것이다.

항목 발파 해체 공법 와이어 절단 공법
작업 속도 빠름 (단시간 내 해체 가능) 느림 (정밀한 작업 필요)
안전성 낮음 (예측 불가한 붕괴 가능성 존재) 높음 (정밀 제어 가능)
비용 상대적으로 저렴 고가 (장비 및 인력 비용 발생)
적용 대상 대형 구조물, 긴급 철거 시 사용 정밀 해체가 필요한 도심지, 복잡 구조물 등
사고 위험도 높음 (하중 분산 실패 시 대형 사고 가능) 낮음 (단계별 해체로 위험 분산)

🧯 [3] “우리도 답답하다”…사과인가, 변명인가?

발파 해체를 맡은 코리아카코는 사고 발생 9일 만에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 원인을 알 수 없다. 우리도 답답하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책임 회피로 읽히며, 국민적 공분을 샀다. 사과문 역시 여론에 떠밀려 발표된 형식적인 내용으로, 진정성이 부족했다. 특히 작업 인력 구성에 대한 지적에 대해 “평소 함께 일해온 기능공”이라며 해명했지만, 정직원 1명 외 대부분이 계약직 또는 일용직이었다는 점에서 안전관리의 허점이 드러났다.


🏛 [4] 사고 후 9일, 정부가 움직였다…너무 늦은 대응

사고 이후 정부는 뒤늦게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하고, 고용노동부가 조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그 과정은 더디고, 실질적인 제도 개선은 아직 요원하다. 특히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의 책임 소재는 여전히 모호하며, 해체공정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도 미비한 상태다. 아래 표는 사고 이후 정부와 관련 기관의 대응 일지를 정리한 것이다.

날짜 주요 대응 내용
11월 6일 울산화력 5호기 보일러 타워 붕괴, 7명 사망
11월 7~10일 구조 작업 진행, 생존자 1명 구조 실패
11월 11일 고용노동부, 사고조사 착수 발표
11월 13일 한국동서발전, 유가족에 사과 및 보상 논의 착수
11월 15일 코리아카코, 기자회견 통해 사과문 발표

🔁 [5] 또 반복된 죽음…‘중대재해’는 왜 계속되나

울산화력발전소 사고는 2022년 평택항 노동자 사망 사건, 2023년 SPC 제빵공장 사고 등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하청 구조, 안전관리 부실, 책임 회피, 뒤늦은 사과. 반복되는 패턴 속에서 노동자의 생명은 언제나 뒷전이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실질적인 변화는 없었고, 기업과 정부는 여전히 ‘사고 이후’에만 반응한다. 이제는 ‘사고 이전’의 예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 책임 없는 사과는 사과가 아니다

이번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는 단순한 해체 실패가 아닌, 한국 산업안전관리 체계의 붕괴를 보여준 사건이다. 작업업체의 무책임한 태도, 정부의 뒤늦은 대응, 제도적 허점은 모두 이 비극을 키운 요인이었다. 진정한 사과는 책임을 인정하고, 구조를 바꾸는 데서 시작된다. 더 이상 ‘예측 불가’라는 말로 생명을 잃는 일이 반복되어선 안 된다.


📚 출처

 

반응형